본문 바로가기
여행 정보/독일

독일의 수도 베를린

by 페라리 에이스 2020. 12. 16.
반응형

독일의 수도는 베를린입니다. 세계 대전을 치를 때도 독일의 수도는 베를린이었습니다. 분단 시절에는 베를린이 동독 지역 안에 들어가 있는 지정학적인 이유로 서독의 수도는 본이었고 동독의 수도는 동베를린이었습니다. 

베를린
베를린

베를린의 역사

베를린의 역사는 1237년부터 시작됩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8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베를린은 현재 독일 지도에서는 동북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브란덴부르크의 수도였던 베를린은 프로이센이 브란덴부르크를 합병하고 난 이후 프로이센의 수도가 됩니다. 

프로이센은 1871년에 분열된 독일을 통일하면서 베를린은 전 독일의 수도가 됩니다. 이때부터 베를린은 도시가 성장하는 획기적인 기회를 맞이합니다.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베를린은 독일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면적이 큰 대도시가 됩니다. 

세계 대전을 치를 때 독일의 수도 기능을 하였던 베를린은 패전의 결과 참혹하게 파괴됩니다. 전 후 서독과 동독이 분단되는 역사가 시작됩니다. 베를린은 수도라는 상징성을 가지는 매우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에 베를린 자체가 동서로 분단이 되는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다시 말하자면 국토 전체적으로 서독과 동독으로 분단되었고, 동독 지역 안에 위치한 베를린도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으로 분단되는 형국을 맞이하게 됩니다. 

베를린 장벽 이스트사이드갤러리
베를린 장벽 이스트사이드갤러리

 

서베를린은 육지의 섬처럼 동독 지역 안에 갇혀 있게 되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서베를린을 소련에게 절대 넘겨주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만약 독일마저 공산화가 되면 유럽 전체가 공산화될 위험이 있다고 미국은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세계 대전을 2번이나 치를 만큼 저력이 있는 독일을 공산권 소련에 넘겨주는 것은 자유주의 진영 입장에서는 위험한 것이었습니다. 

미국은 세계 대전 때는 독일과 치열하게 싸웠던 국가이지만 독일을 유럽 공산화를 막는 방파제로 삼기 위해 전략적으로 서독의 재건을 돕습니다. 국가가 가난해지면 공산화가 진행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베를린 황금기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문

베를린은 1920년대에 황금기를 맞이합니다. 이때 베를린 인구가 지금과 큰 차이가 없었고 문화 예술도 발전하여 영화 산업은 미국의 할리우드와 베를린이 경쟁할 만큼 발달했었습니다. 지금도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를린 영화제가 매년 2월 개최가 되고 있습니다. 

1920년대 독일은 전체 유럽이 생산하는 철강량보다 더 많이 생산할 만큼 산업 국가로 급성장했을 때입니다. 베를린은 이 시대에 대한 향수가 있으며 통일 후 베를린 중심가 브란덴부르크 문 인근 파리 광장 주변을 다시 건설할 때 1920년대 모습으로 복원하었습니다. 

베를린의 인구와 면적

베를린의 인구는 약 360만입니다. 면적은 서울보다 약 1.5배가 큰 891 제곱 킬로미터입니다. 인구로 보나 면적으로 보나 독일에서는 제일 큰 대도시입니다. 

독일은 우리나라와 달리 지역 균형 발전이 잘 되고 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인구가 100만이 넘는 도시는 3개밖에 없습니다.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이렇게 3개 도시만이 인구 100만이 넘고 대부분의 도시들은 이보다 인구가 작습니다.

문화와 예술의 도시 베를린

베를린에는 세계 3대 필하모니 중에 하나인 베를린 필하모니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페라 극장들이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예술가들이 많은 도시가 베를린입니다. 베를린은 예술가들이 이 도시에 정착하여 창작활동을 하며 살아가기 좋은 조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일 도시 베를린

베를린은 한 도시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로 분열되었다가 통일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서 베를린의 경계를 가로막던 베를린 장벽이 이제는 몇 군데만 문화재로 남아 있습니다. 통일된 지 한 세대가 흐른 지금 베를린은 통합의 도시로 거듭났고 1991년부터 통일 독일의 수도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독일 주의 개념 | 독일은 왜 지방자치가 잘 될까?

 

독일 주의 개념 | 독일은 왜 지방자치가 잘 될까?

독일은 16개 주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입니다. 독일을 이해하자면 주의 개념을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독일이 우리나라와 비교해서 왜 지방자치가 잘 되고 지역적으로 균형 발전이 비교적 잘 되

rich-how.tistory.com

 

반응형

댓글